재무 3

스티브 잡스는 왜 팀 쿡을 CEO로 선택했는가?

1. 서론: 애플의 역사적 순간2011년 8월,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CEO 자리에서 물러나며 팀 쿡을 차기 CEO로 임명하였습니다. 애플을 창립한 혁신가인 잡스가 선택한 후계자가 창의적인 디자이너나 제품 개발자가 아닌,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에 특화된 운영 전문가였다는 점은 많은 사람들에게 의문을 남겼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잡스가 팀 쿡을 선택한 배경과 그 이유, 그리고 팀 쿡이 애플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 2. 팀 쿡이 애플에 오기 전: SCM 혁신가로서의 커리어팀 쿡은 애플에 합류하기 전, IBM과 컴팩(Compaq)에서 공급망 관리(SCM)와 운영 최적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컴팩에서 글로벌 운영을 총괄하며 비용 ..

과거 무차입 경영이던 롯데, 어떻게 부채가 30조가 육박하게 되었나

1. 롯데그룹 차입금 급증 배경2021년 이후 롯데그룹의 총차입금이 급격히 증가하여 2024년 중반 기준 약 30조 원에 달했다. 이는 공격적인 인수합병(M&A)과 신규 사업 투자, 주요 계열사의 실적 악화로 인한 현금 창출력 저하,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금 조달 비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일부 계열사는 유동성 위기설까지 거론되며 재무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 차입금 증가의 주요 원인2.1 주요 계열사의 실적 부진과 현금흐름 악화1) 롯데케미칼:2022년부터 석유화학 업황 부진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며 차입금이 2021년 6.8조 원 → 2024년 9.7조 원으로 증가인수합병 투자 부담과 이자비용 증가로 인해 2024년 이자보상배율(세전이익..

무리한 차입경영의 부정적 영향

차입경영에 대해차입 경영은 기업의 성장과 확장을 위해 차입을 활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경영 전략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과도한 차입, 즉 무리한 차입경영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해치고, 심각한 경우 파산에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무리한 차입경영의 부정적 영향 1) 재무 건전성 악화 – 기업 존립을 위협하는 시한폭탄부채비율이 높아지면 기업의 자체적인 자금 운용 능력이 급격히 저하됩니다.예시: STX 그룹은 조선·해운 업황이 좋을 때 공격적인 차입을 통해 사업을 확장했지만, 금융위기 이후 부채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법정관리에 들어갔습니다.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이 400% 이상을 초과하면 지속적인 영업이익으로도 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워집니다.이자 비용 증가 → 영업이익 감소 → 순이익 악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