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2

물류 내재화는 이커머스 경쟁의 핵심인가?

이커머스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물류 내재화'는 많은 기업들이 고민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요소 중 하나다. 빠른 배송과 운영 효율성을 위해 자체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인가? 아니면 외부 물류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까?   물류내재화란?쉽게 말해, 물류 내재화란 기업이 제품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보관, 관리, 포장, 배송 등)을 직접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쿠팡이 '로켓배송'을 위해 자체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직접 배송 기사를 고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반대로, 물류를 외부 업체(예: CJ대한통운, 한진택배)에 맡기는 방식도 있는데, 이는 비용을 절감하고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

아마존 고(Amazon Go) 실패 원인 분석

아마존은 2017년 7월 16일, 미국 유기농 식료품점인 홀푸드마켓(Whole Foods Market)을 137억 달러에 인수하며 오프라인 유통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후 2018년, 시애틀에서 무인 점포 기술을 활용한 오프라인 리테일 혁신 모델 아마존 고(Amazon Go) 를 도입했다. 아마존 고는 '저스트 워크 아웃(Just Walk Out)' 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이 계산대 없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설계된 혁신적인 리테일 실험이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수익성 확보에 실패하며 확장 전략이 중단되었고, 결국 점진적인 철수를 결정하게 되었다.본 글에서는 아마존 고의 실패 원인을 비용 구조, 소비자 행동, 경쟁 환경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향후 유사한 모델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시사점..

세일즈 앤 리스백(SLB)이란? 전략적 활용 방법까지

세일즈 앤 리스백의 개요세일즈 앤 리스백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 주로 부동산을 매각한 후 동일 자산을 장기 임대하여 사용하는 재무 전략이다. 기업은 이를 통해 즉각적인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존의 영업 운영을 지속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특히 자산을 보유하는 것보다 유동성을 중요시하는 기업에게 유리하다. 주로 유통업, 제조업, 항공업, 금융업 등에서 활용되며,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개선하고 핵심 사업에 자본을 집중하는 전략적 도구로 활용된다.세일즈 앤 리스백의 핵심 개념은 자산 유동화 및 운영 지속성 확보에 있다. 기업이 보유한 부동산을 매각하면서도 동일한 장소에서 운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장기 임대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단기적으로 현금을 확보하면서도 장기적인 사업 연속성을 유지할 수..

홈플러스는 왜 회생 절차를 신청했을까

회생은 최선의 선택이었나?2025년 3월 5일, 홈플러스가 공식적으로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이를 통해 홈플러스는 일정 기간 동안 채무 상환 유예와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위기 극복을 위한 조치인지, 아니면 장기적인 경영 전략의 일환인지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홈플러스가 회생을 선택한 원인1) 자산 매각을 통한 현금 유동성 확보 전략의 실패홈플러스는 2015년 MBK파트너스에 인수된 이후, 대규모 점포 부지를 매각하고 이를 임차하는 '세일즈 앤 리스백(Sale & Leaseback)' 방식으로 현금을 확보했다. 이는 단기적으로 자금 유동성을 높이는 전략이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임대료 부담 증가로 인해 운영 비용이 상승하며 매출 성장보다 비용 증가가 더 빠르게 진행..

삼성SDS Cello, 물류 SaaS 시장에서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한 이유

삼성SDS 첼로(Cello) 플랫폼 소개삼성SDS의 첼로(Cello) 플랫폼은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물류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디지털 물류 SaaS 솔루션이다. 삼성SDS는 이를 통해 국내 및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자 했다.첼로(Cello) 플랫폼의 주요 기능:엔드 투 엔드(End-to-End) 물류 서비스: 수출입, 창고 관리, 운송 및 배송까지 전 과정 관리AI 및 빅데이터 기반 물류 최적화: 물류 비용 절감, 최적 경로 추천, 수요 예측실시간 가시성(Visibility) 제공: 화물 상태 및 이동 추적 기능블록체인 기술 적용: 물류 이력 추적 및 투명성 강화삼성SDS는 첼로를 통해 삼성 그룹의 글로벌 물류 최적화뿐만 아니라, 외부 시장에서도 B2B 물류 S..

네이버 VS 카카오: AI 큐레이션을 통한 웹툰 경쟁 분석

웹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며 AI(인공지능) 큐레이션 기술이 핵심 경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국내 대표적인 웹툰 플랫폼인 네이버 웹툰과 카카오 웹툰은 AI 추천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맞춤형 웹툰을 제공하는 전략을 펼치며 매출을 올리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AI 큐레이션 전략을 비교하고, 해당 기술이 각사의 웹툰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겠다.  1. 네이버 웹툰의 AI 큐레이션 전략AI 추천 시스템: ‘AI 큐레이터’ & 딥러닝 큐레이션네이버 웹툰은 딥러닝 기반 AI 추천 시스템 ‘AI 큐레이터(AI Curator)’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패턴을 분석한다. 네이버의 AI 추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사용자 행동 분석: 스..

왜 쿠팡은 코스피가 아닌 나스닥에 상장했을까?

왜 쿠팡은 코스피가 아닌 나스닥에 상장했을까?2021년 3월, 쿠팡은 한국의 코스피(KOSPI)가 아닌 미국 나스닥(NASDAQ) 시장을 선택해 상장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이커머스 기업인 쿠팡이 국내 증시가 아닌 해외 증시를 택한 이유는 단순하지 않다.이는 투자 유치, 경영권 유지, 글로벌 확장 전략이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이번 글에서는 비즈니스 전략적 관점에서 쿠팡이 코스피 대신 나스닥 상장 선택을 왜 하였는지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1. 해외 투자 유치 극대화 전략1) 나스닥 vs 코스피: 투자자 성향 차이쿠팡이 나스닥을 선택한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는 투자자 성향이다. 한국 코스피 시장에서는 전통적으로 수익성을 중요하게 평가하는 반면, 나스닥은 적자 상태라도 성장성이 높은 기업..

이마트는 왜 이커머스 기업들에게 밀렸을까?

이마트의 전략과 한계1) 이커머스 시장 성장과 초기 대응 부족이커머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했지만, 이마트는 오프라인 중심의 전략을 고수하면서 변화를 늦게 감지했다. 쿠팡, 네이버쇼핑, 마켓컬리 등은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펼쳤지만, 이마트는 대형마트 모델을 유지하며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2010년대 초반부터 이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마트는 물류 인프라 및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음오프라인 매장 확장에 집중하면서 온라인 전환 전략이 늦어짐 2) 이마트 앱과 온라인 전략의 한계이마트는 이커머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자체 앱을 운영했지만, 이마트 앱은 온라인 쇼핑몰이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을 보완하는 O2O(Online to Offline) 앱에 가까웠다. 이는 이커머스 ..

성공하는 브랜드의 비밀: 강력한 CI·BI 전략 분석

CI(기업 정체성)와 BI(브랜드 정체성)의 개념기업 정체성(Corporate Identity, CI)는 기업의 본질을 정의하는 요소로, 미션, 비전, 핵심 가치, 경영 철학, 로고, 컬러, 슬로건 등이 포함된다. 기업이 어떤 존재이며, 사회에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나타낸다.브랜드 정체성(Brand Identity, BI)는 특정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일관된 이미지와 가치를 의미한다. 브랜드의 로고, 컬러, 디자인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메시지, 톤 앤 매너, 고객 경험까지 포함된다. CI와 BI의 차이점CI는 기업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이며, 그룹 전체의 방향성을 나타낸다. 예) 삼성 그룹의 CIBI는 특정 브랜드의 정체성을 의미하며,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를 형성한다. 예) 삼성전자의..

스파크플러스 VS 패스트파이브, 국내 공유 오피스 시장 누가 승자가 될 것인가

다들 공유 오피스를 많이 이용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파이브스팟을 자주 이용하는 고객입니다.최근 국내 공유 오피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패스트파이브와 스파크플러스가 있습니다.두 기업은 어떤 전략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어떻게 경쟁하고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두 기업의 시장 점유율비즈니스 모델 및 입지 전략 분석서비스 차별화 요소리스크 요인 및 시장 진입 장벽장기적 경쟁 우위 확보 가능성 분석(마지막에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감)이 5가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1. 시장 점유율 및 성장 현황패스트파이브2015년 설립, 국내 최대 규모 공유 오피스 브랜드 중 하나현재 51개 이상의 지점 운영, 누적 이용 기업 26,300+, 입주 멤버 수 33,440명 이상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