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기획 | 사업개발 | 마케팅 기획

2024년 소비 트렌드 분석과 2025년 트렌드 전망 및 비즈니스 성공 전략

유지경성 2025. 2. 25. 04:53

I. 2024 소비 트렌드 개요

2024년 한국 소비 시장은 저성장, 고물가, 소비자 심리 위축이라는 경제적 기조 속에서 변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4년 GDP 성장률은 2%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23년보다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완전한 회복이라 보기는 어렵다.

  • 소비자들은 외식, 문화생활 지출을 줄이고 필수재(식료품, 의료비, 공과금) 지출을 증가시키고 있다.
  •  ‘가심비’(감성+가성비) 소비 트렌드는 약화되었고, 실용성과 가격 대비 성능을 중시하는 가성비 소비 패턴이 확산되고 있다.
  •  AI, 숏폼 콘텐츠, 개인정보 보호 등 디지털 기술이 소비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리 잡음.

II. 2024 소비 트렌드 5대 키워드

1. 숏폼(Short-form) 콘텐츠와 디지털 소비의 부상

  • 숏폼 콘텐츠 이용률 급증 (2021년 56.5% → 2024년 82.7%)
  • 인스타그램, 유튜브 쇼츠 등 영상 기반의 플랫폼 체류 시간 증가
  • 브랜드 마케팅에서도 숏폼 중심의 콘텐츠 제작이 필수 전략

2. AI 기반 검색과 소비 의사결정 변화

  • 2024년 초 기준 ChatGPT 인지도 80.8%, 경험률 34.5%
  • AI가 검색, 정보 요약, 의사결정 지원 역할 수행 → 전통적인 검색 행태 변화
  • 기업들은 AI 기반 검색 최적화(SEO) 전략 필요

3. 가성비(Price-conscious) 소비 트렌드

  • 소비자들이 세일, 핫딜을 적극 탐색 (54.4%)
  • 명품 소비 감소, PB(자체 브랜드) 상품 증가
  • 다이소가 10~20대 뷰티 시장에서도 주요 구매 채널로 성장

4. 개인정보 보호 이슈 확대

  • 개인정보 보호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 (96.7%) vs. 보호된다고 믿는 소비자 (15.8%)
  • 온라인 뱅킹, 금융, 공공 서비스에서 보안 요구 증가
  •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브랜드 신뢰도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

5. 시니어(50~70대) 소비 증가 및 대체식품 확산

  • 50대: 경제적 부담 가중 (부모 부양 + 자녀 교육)
  • 60대: 여가 소비 증가
  • 70대: 건강 관리 관련 소비 증가
  • 대체육, 대체 탄수화물 등 가치소비 트렌드 부상

III. 2025 소비 트렌드 전망

1. 외출형 소비 감소, 재택형 소비 증가

  •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와 유사한 소비 패턴 반복
  • 외식, 문화생활, 명품 소비 감소필수재 및 생활용품 소비 증가

2. AI 기반 서비스 확산

  • AI 챗봇, AI 커머스 추천 시스템 정착
  • 기존 검색엔진 중심의 마케팅이 AI 기반 최적화로 전환

3. 지속 가능한 소비와 가치소비 트렌드 강화

  • 친환경, 윤리적 소비가 브랜드 선택의 중요한 요인이 됨
  • 중고거래 플랫폼, 구독경제 모델 지속 성장

IV. 기업을 위한 2025 비즈니스 성공 전략

1. AI & 디지털 최적화 전략

  •  AI 기반 검색 최적화(SEO) 및 AI 마케팅 도입 → AI 검색에서 브랜드 노출 극대화
  • 숏폼 콘텐츠 제작 확대 → 짧고 강렬한 브랜드 메시지 전달 필수

2. 가성비 & PB(자체 브랜드) 전략

  • PB 제품 개발 및 가격 경쟁력 강화 → 소비자의 브랜드 로열티를 높일 수 있는 핵심 전략
  • 할인, 프로모션 극대화 → 가성비 소비 성향을 반영한 마케팅 필수

3. 소비자 신뢰 확보 전략 (개인정보 보호 & 브랜드 신뢰도 강화)

  •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강화 → 보안 강화가 곧 브랜드 경쟁력
  • 투명한 ESG(환경·사회·거버넌스) 정책 도입 → 가치소비 트렌드 반영

4. 시니어 & 맞춤형 소비 시장 공략

  • 50~70대 대상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 개발 → 시니어 마켓 성장 기회
  • 건강 관련 제품, 서비스 강화 → 대체식품, 건강식품 시장 확대 가능성

V. 결론

2024년 소비 트렌드는 AI, 숏폼, 가성비, 개인정보 보호, 시니어 소비 증가 등의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다.

2025년에는 외출형 소비 감소, 재택형 소비 증가, AI 기반 서비스 확산, 지속가능한 소비 트렌드 강화가 예상된다.

기업들은 단순한 가격 경쟁력을 넘어, AI 최적화, 개인정보 보호, 맞춤형 소비자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 성공 전략이 될 것이다.

 

 

활용 자료: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353/view.do?depth=200433&menuNo=200433&nttId=10086601&programType=newsData&relate=Y

 

[제2024-24호] 빅데이터 기반 소비패턴 분석과 전망 | BOK 이슈노트(상세) | 조사연구 | 뉴스/자료 |

1. 최근 민간소비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신속하고 정도높은 소비 전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활용성이 높아진 빅데이터, 생성형 모형 등 최신 기술을 이용하여 소비 동향을 실

www.bok.or.kr

https://blog.opensurvey.co.kr/news/trendreport-2024-recap/

 

오픈서베이 트렌드 리포트로 본 2024 대한민국 소비 트렌드 연말결산 - 오픈서베이 블로그

2024년 오픈서베이 트렌드 리포트 주제와 데이터를 요약 정리합니다. 숏폼, AI 등 우리 일상 전반에 영향을 미친 키워드부터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새로운 화두까지, 2024년 한 해의 트렌드를 되돌

blog.opensurvey.co.kr

https://blog.opensurvey.co.kr/article/webinar-eatbuyplay-2024-2-overview

 

2024 소비 트렌드: 저성장 시대, 기업이 주목해야 할 변화와 2025 전망 - 오픈서베이 블로그

저성장기 속, 소비 트렌드는 어떻게 변화할까요? 이번에는 오픈서베이의 최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고, 2025년을 전망해 봅니다.

blog.opensurve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