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위기 속에서 탄생한 혁신적인 전략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
- 리먼 브라더스 파산 이후, 미국 및 글로벌 경제 위기 심화
- 자동차 시장 침체: 2008년 4분기 미국 자동차 판매량 34.7% 감소
- 현대차 미국법인(HMA) 판매량 41% 급감, 소비 심리 위축
어슈어런스 프로그램을 도입한 의도
- 소비자의 가장 큰 두려움(실직 위험)을 제거하는 전략 도입
- 단순 프로모션이 아닌 소비자 중심의 리스크 분담 모델 구축
- 소비자 신뢰도를 높여 장기적 브랜드 가치 향상을 목표로 설정
현대 어슈어런스 프로그램의 핵심 전략
프로그램 내용
- 차량 구매 후 1년 내 실직하면 차량 반납 가능
- 신용 불이익 없이 반납 가능, 소비자 부담 최소화
- 추가 비용 없이 제공, 현대차가 리스크를 부담
프로그램 실행 및 홍보 전략
- 2009년 1월 슈퍼볼 광고로 대대적인 홍보
- 신뢰를 강조한 ‘Assurance’ 캠페인으로 브랜드 이미지 개선
- 소비자 심리적 부담 해소를 강조하며 언론의 주목을 받음
성과: 현대차의 도약
정량적 성과
- 미국 시장 판매량 증가: 2009년 1월 판매량 14% 증가
- 시장점유율 상승: 3.2% → 4.9% (2009년 3월 기준)
- JD Power 신차 품질조사(IQS) 순위 상승: 13위 → 4위 (2009년)
- 현대차 브랜드 호감도 증가: 소비자 조사에서 60% 긍정 반응 (2년 전 대비 +20%)
장기적 효과
- 현대차 브랜드 신뢰도 상승 → 프리미엄 시장 진출 기반 마련
- 경쟁사 벤치마킹 유발 → 포드, GM 등 유사 프로그램 도입
- 위기 속 소비자 중심 경영 성공 사례 → 코로나19 시기에 재도입
현대 어슈어런스 프로그램이 미국에서는 시행되고 국내에서는 시행되지 않은 이유
미국에서 가능했던 이유
- 보험사 워커웨이(Walkaway)와의 협업
- 워커웨이는 자동차 대출 관련 실직 보험 상품을 운영하는 회사였음.
- 현대차는 워커웨이와 제휴하여 실직한 소비자가 차량을 반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함.
- 현대차가 직접 실직 보장을 제공한 것이 아니라 보험사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함.
- 미국 내 자동차 금융·리스 문화
- 미국은 할부 및 리스 구매가 일반적이며, 금융기관과 보험사들이 리스크를 관리하는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고 있었음.
- 현대차는 이러한 금융 시스템을 활용하여 어슈어런스를 실행할 수 있었음.
국내에서 시행되지 못한 이유
- 국내에는 워커웨이와 같은 실직 보장 보험사가 없었음
- 2008년 당시 한국에는 자동차 대출 관련 실직 보장 보험을 제공하는 보험사가 존재하지 않았음.
- 따라서 현대차가 미국과 같은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했음.
- 국내 자동차 시장 구조 차이
- 한국은 미국보다 현금 구매 비율이 높고, 할부나 리스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었음.
- 실직 보장 프로그램을 시행하더라도 혜택을 받을 소비자층이 미국보다 적었음.
- 소비자 반응 예측 및 법적 문제
- 한국에서는 차량 구매 후 반납 시스템이 익숙하지 않음.
- 차량을 반납하는 경우 가치 하락에 대한 보상 문제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음.
어슈어런스 프로그램은 현대차의 글로벌 브랜드 도약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는 기업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전략 기획 | 사업개발 | 마케팅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머스 비즈니스 모델 종류 1 (2) | 2025.02.28 |
---|---|
한국 밀키트 시장 분석: 폭풍 성장 이후 시장 둔화 분석 (2) | 2025.02.28 |
매스마케팅 VS 마이크로마케팅 & 각 성공 사례 (1) | 2025.02.27 |
호카의 폭발 성장을 만들어낸 전략: 플라이휠 전략 (1) | 2025.02.27 |
단세포적 개념 설명 및 단세포적 소비 유도 2025 기업 핵심 전략 (5)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