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블완 6

PM으로서의 여정 - 웹 개편(홈, 제휴 혜택)

이전에 웹 개편에 관해서 말했었는데 오늘 글에서는 홈 내용을 왜 이런 식으로 다뤘는지에 대해서 말하는 내용을 다룰 예정입니다.   히어로 섹션: 웹사이트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핵심웹사이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히어로 섹션입니다.사용자들이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곳이자, 서비스를 이해하고 첫인상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죠.이번 개편에서는 이러한 히어로 섹션의 중요성을 깊이 고려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심리적 장벽을 낮추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히어로 섹션의 주요 변화와 그 이유1. 실질적인 앱 사용 화면 추가히어로 섹션에는 앱 내 실제 사용 화면을 포함했습니다.목적: 사용자들이 서비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PM 2024.11.19

PM으로서의 여정 - 서비스 브랜드 컬러 & 로고 선정

요번 글에서는 제가 저희 서비스 브랜드 컬러와 로고 선정을 어떤 과정으로 선정을 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공유 해드리려고 합니다.  브랜드 컬러 선정 과정브랜드 컬러는 해당 자신의 서비스 아이덴티티를 알리는 방법이죠.저희는 서비스 첫 기능이 대학생 미팅 기능입니다. 보통 미팅/데이팅 어플 같은 경우에는 핑크, 레드 계열입니다.열정, 애정, 설렘등의 감정을 불러오기 때문이죠.하지만 저희는 미팅/데이팅을 저희 서비스 상징적인 기능으로 만들려고 하지 않아 핑크, 레드 계열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저희 ‘캠플’ 팀이 브랜드 컬러를 보라색으로 선정하게 된 이유로는, 보라색이 가져오는 몇가지 특징들 때문입니다.신뢰의 이미지 + 고유성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신뢰의 이미지를 주면서 동시에 특히, 유니크한 색상이다보니해당 색상..

PM 2024.11.18

PM으로서의 여정 - SEO 과정

이번 글에서는 웹 개편 과정에서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어떻게 개선했는지에 대해 공유하려 합니다.SEO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테크니컬 SEO콘텐츠 SEO저희 서비스의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이 두가지 형태의 SEO를 어떻게 적용했는지에 대해 이번 글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테크니컬 SEO 저희 팀에게 제가 요청한 테크니컬 SEO task들 아래에 복붙해드리겠습니다.  사이트 보안 강화(SSL인증서, HTTPS)클라우드 플레어 솔루션(무료)페이지 로딩 속도 빠르게(최소 2초)사이트 구조 최적화간결하고 명료한 URL해당 URL이 주제와 연관된 텍스트로 작성되어야함예) 공지사항이면 공지사항에 해당하는 URL이 배정되어있어야함XML 사이트 맵robots.t..

PM 2024.11.17

PM의로서의 여정 - 웹 개편1

거의 모든 서비스들이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 공식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희 역시 웹사이트를 통해 서비스의 가치를 보다 명확히 전달하고자 처음 웹사이트를 제작했습니다.하지만 웹사이트는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신규 잠재 고객을 유입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합니다. 기존 웹사이트는 이 부분에서 한계를 드러냈고, 결과적으로 저희 서비스에 맞는 잠재 고객을 유치하기 어려운 형태였습니다.그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습니다:구글 검색 최적화 부족기존 웹사이트는 피그마로 디자인한 결과물을 그대로 export하여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형태였습니다. 이로 인해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구글 검색에 제대로 노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거의 모든 텍스트들도 이미지 형태로 되어있었기 때문이죠..

PM 2024.11.16

PM으로서의 여정 - ASO 과정

개인 서비스나 회사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유저 확보가 최우선 과제라는 사실을 잘 알 것입니다. 그만큼 ASO 최적화 과정은 유저 유입을 늘리고 성공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PO포지션으로 운영하는 서비스에서 어떻게 ASO를 효과적으로 적용했는지 그 과정을 공유해드리려 합니다. ASO란?ASO는 '앱 스토어 최적화(App Store Optimization)'의 약자로, 앱 스토어에서 앱의 가시성을 높이고, 오가닉 다운로드를 늘리며, 검색결과에서 더 높은 순위로 얻을 수 있도록 제목과 설명에 타겟 키워드를 배치하는 개념입니다. 구글에 따르면, 40%의 앱은 앱스토어 내 검색엔진을 통해 발견된다고 합니다.즉, 많은 사용자는 앱스토어를 통해 새로운 ..

PM 2024.11.15

PM으로서의 여정 - UX 개선1

이번 블로그 내용으로는 제가 PO로써 운영하는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pain point에 공감하고 해당 문제를 정의하며 UX를 개선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회원가입 과정 유저들 pain point 해결제가 만든 서비스는 대학생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보니 회원가입 과정에서 대학생 인증 프로세스도 거치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다른 서비스에 비해 회원가입 과정이 긴 편입니다.해당 서비스가 에타, 블라인드처럼 해당 타겟에 유명한 서비스이면 ‘Band Wagon Effect’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회원가입을 끝까지 할 확률이 높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희 서비스가 초기 상태이다보니 회원가입 중간에 이탈하는 유저들이 종종 발생을 하였습니다.운이 좋게 회원가입 과정중 이탈한 유저들을 몇 차례 인터뷰를 진행을 하..

PM 2024.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