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PM으로서의 여정 - SEO 과정

유지경성 2024. 11. 17. 00:41

이번 글에서는 웹 개편 과정에서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어떻게 개선했는지에 대해 공유하려 합니다.

SEO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테크니컬 SEO
  2. 콘텐츠 SEO

저희 서비스의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이 두가지 형태의 SEO를 어떻게 적용했는지에 대해 이번 글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테크니컬 SEO

 

저희 팀에게 제가 요청한 테크니컬 SEO task들 아래에 복붙해드리겠습니다.

 

 

  1. 사이트 보안 강화(SSL인증서, HTTPS)
    • 클라우드 플레어 솔루션(무료)
  2. 페이지 로딩 속도 빠르게(최소 2초)
  3. 사이트 구조 최적화
    • 간결하고 명료한 URL
      • 해당 URL이 주제와 연관된 텍스트로 작성되어야함
        • 예) 공지사항이면 공지사항에 해당하는 URL이 배정되어있어야함
    • XML 사이트 맵
    • robots.txt
    • 페이지에 meta description 추가
      • 웹 페이지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담은 요약 텍스트로, <head></head>에 포함
    • 유효한 hreflag 지정
      • 페이지의 <head>에 hreflang 링크가 포함시키기
      • 여러 언어의 페이지를 사용하는 경우, 3가지 옵션으로 hreflag 지정
    • 유효한 rel = canonical ← 비슷한 내용을 담거나 중복되는 페이지에 대해 어떤 페이지가 오리지널인지 알려주는 태그
      • 페이지의 <head>에 <link rel = canonical> 포함 or
      • HTTP 응답에 Link Header를 추가
    • HTTP Status Code 오류 확인 ← 완전히 없어야함
    • 웹 문서에서 플러그인 사용X
      • 특정 브라우저의 플러그인에 의존적인 페이지의 경우 사용성 떨어짐. 특히 Chrome이 아닌 브라우저
      • 플러그인 기반의 콘텐츠가 포함되어있을 경우, HTML로 변환
    • 구조화된 데이터 형식 활용
  4. 모바일 최적화
    • 모바일 반응형 디자인으로 웹 구성
    • 모바일에서 편한 폰트 사용
      • 모바일 환경에서도 읽기 편한 폰트 사이즈는 평균적으로 12p 이상
        •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테스트의 40% 이상이 12픽셀보다 작으면 안됩니다.
  5. 이미지, 비디오 최적화
    • 이미지 파일명 구조화
    • 이미지 대체 텍스트 넣기
      • 검색 엔진 봇에게 이미지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추가로 지정하는 요약 텍스트
    • 키워드에 기반한 이미지 ALT태그 작성

 

 

 

콘텐츠 형 SEO

 

해당 서비스 내 블로그 작성 방법:

 

 

콘텐츠의 타이틀 및 키워드

  • 콘텐츠의 타이틀(Title Tag)에 포함할 ‘메인 타겟 키워드(Main Target Keyword)’를 선정
  • 소제목 및 본문 전반에 함께 배치할 ‘롱테일 키워드(Long-tail Keyword)’를 선정
    • 롱테일 키워드는 상대적으로 검색량이 적지만 경쟁이 덜하고, 키워드에 표현된 사용자의 의도가 구체적이어서 비교적 단기간에 검색 결과 상단을 노릴 수 있는 키워드를 뜻합니다.

메인 타겟 키워드 & 롱테일 키워드 예)

  • 메인 타겟 키워드(H1)
    • 대학생 미팅
  • 롱테일 키워드(H2 ~ H6)
    • 대학생 미팅 술집
    • 대학생 미팅 문화
    • 대학생 미팅 특징

서문

해당 웹 페이지에서 다루게 될 내용을 2~3줄로 구성된 문단으로 간단히 소개. 이외 다음의 요소를 갖춰 구성하면, 검색 엔진 친화적인 웹 페이지가 됩니다.

  • 콘텐츠 전체 구성 <li></li>태그가 활용된 불릿 포인트 형식의 목차로 보여주기
  • 목차는 콘텐츠의 각 제목과 연결된 앵커 텍스트(Anchor text)로 연결, 사용자의 페이지 체류를 원활하게 하기

본문 작성 및 이미지 배치

  • 맥락에 맞지 않은 키워드를 무분별하게 배치하는 ‘키워드스터핑(Keywords Stuffing)’은 지양
  • 검색 엔진은 사용자의 콘텐츠 클릭부터 체류 시간, 타 페이지와의 이동 등을 모두 고려하여 검색 랭크(Rank)를 결정
  • 타겟 키워드는 타이틀 태그를 제외하고, 5회 이상 본문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치
  • 본문 중간에 관련된 주제의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텍스트 링크
  • 이미지 개수는 검색 결과 상단에 뜨는 타 콘텐츠를 기준으로 평균에 맞추기
  • 이미지를 삽입하고 이미지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대체 텍스트(Alt Text)를 기입

 

 

 

 

유형 테스트 제작 순서도

 

 

1단계: 유형 테스트 카테고리 정하기

  • 대학생활
    • 우리가 타겟하는 서비스 사용자들인 대학생들이 관심 있어할만한 주제 위주로 활용
  • 미니게임
    • 밸런스 게임 형태로 풀어나갈 예정
  • 유형테스트
    • 바이럴이 많이 일어나는 이슈 되는 주제
    • 예) 나만의 핑 테스트

2단계: 심리학을 활용한 테스트 주제 정하기

  • 최대한 Band Wagon Effect를 신경 써서
    • 유행을 따라가고 싶어하는 인간의 특성을 활용하여 바이럴이 될만한 키워드인 테스트를 활용
  • 바넘 효과를 활용하여
    • 사람들은 자신을 파악하고 싶어한다.
    • 모든 유형 테스트에 대한 결과를 제작할 경우 모호한 결과 말고 정확한 결과지를 주기

3단계: 게시물 제작

  • 디자인 형태:
    • 디자인은 오바하지 않고 가벼우면서 친근한 형태
  • 저작권 관련:
    • 저작권 관련하여 문제가 생길 것 같은 부분들은 PO인 저에게 상의를 받아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