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PM의로서의 여정 - 웹 개편1

유지경성 2024. 11. 16. 23:06
거의 모든 서비스들이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 공식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희 역시 웹사이트를 통해 서비스의 가치를 보다 명확히 전달하고자 처음 웹사이트를 제작했습니다.

하지만 웹사이트는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신규 잠재 고객을 유입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합니다. 기존 웹사이트는 이 부분에서 한계를 드러냈고, 결과적으로 저희 서비스에 맞는 잠재 고객을 유치하기 어려운 형태였습니다.

그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1. 구글 검색 최적화 부족
    기존 웹사이트는 피그마로 디자인한 결과물을 그대로 export하여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형태였습니다. 이로 인해 웹사이트의 콘텐츠가 구글 검색에 제대로 노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거의 모든 텍스트들도 이미지 형태로 되어있었기 때문이죠.
  2. 검색 경쟁력 부족
    저희 서비스와 동일한 이름을 가진 다른 사업체가 존재하였고 이 해당 웹 사이트 자체의 트래픽 volume 자체가 높아, 검색 결과에서 상위 노출되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들이 저희 웹사이트를 발견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텐츠 SEO 최적화를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를 통해 검색 알고리즘 점수를 향상시키고,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트래픽(접속 유저 수와 체류 시간 포함)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들로 저희는 웹사이트를 전면적으로 개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제, 개편된 웹사이트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이전에 제작되었던 웹사이트가 어떻게 되어있었는지 이미지로 보여드리겠습니다.

 

 

 

 

Video

 

 

 

 

변경하기로 한 부분

- 홈

  • 텍스트 변경
    • 저희 서비스에서 타겟하는 유저들이 대학생들이다보니 웹에 있는 텍스들 자체 형태를 흔히들 말하는 MZ형태로 변경하였습니다. 젊은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느껴지게끔 하기 위한 목적으로 텍스트를 변경 하였습니다. 
  • 웹 사이트 내 이미지 변경
    • 해당 웹 사이트에 저희 잠재 고객들에게 사용자 관점에서 어필할 부분들 위주로 이미지를 추가 또는 변경해줬습니다. 

- 블로그

  • 블로그 섹션에서는 '대학생'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하여, 대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제작했습니다. 이 전략을 통해 대학생 유저의 Organic 유입을 늘리고자 했습니다.

- 유형 테스트

  • 젊은 분들의 SNS 스토리를 보면 주로 유형 테스트에 대한 결과지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이에 대한 이유로는 사람은 자신에 대한 기존의 믿음이나 신념을 강화하려는 경향(Self-Verification & 확증 편향)이 있습니다. 해당 유형 테스트가 자신의 기존 성격적 인식과 일치할 경우, 이는 자신에 대한 믿음을 강화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특히 한국인들은 문화적 요인으로 집단주의 성향이 강하다보니 유형 테스트를 엄청나게 사랑하고 해당 유형 테스트를하고 공감을 받기 위해 SNS에 자주 공유하게 됩니다. 
  • 위 이유들로 저희 팀은 유형 테스트를 잘 제작할 경우, 웹 사이트 트래픽, 서비스 잠재고객 유입이라는 두마리의 토끼를 얻을 수 있을거라는 확신이 있어 유형 테스트라는 기능을 서비스에 넣게 되었습니다.
  • 유형 테스트를 제작할 경우 Band Wagon Effect이 일어날 수 있게 신경 쓰게 제작하였습니다.

 

 

변경 후:

 

 

 

 

 

 

모든 부분에 대해서 한 글에 설명을 넣으면 가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자세한 변경 사안들은 다음 글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