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기획 | 사업개발 | 마케팅 기획 59

고객상태표에 대하여(부채고객 -> 자본고객 전환 전략)

1. 고객상태표의 개념고객상태표는 기업이 보유한 고객을 자산으로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입니다.이는 전통적인 재무제표의 대차대조표(Balance Sheet)와 유사한 개념으로, 기업이 보유한 고객을 가치 기반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대차대조표에서는 자산(Assets), 부채(Liabilities), 자본(Equity)을 구분하여 기업의 재무 상태를 평가하는 것처럼, 고객상태표에서는 기업이 보유한 고객을 식별 가능 여부에 따라 "자산고객"과 "부채고객"으로 구분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 기반의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자본고객 VS 부채고객: 분류 기준자본고객 (Identified Customers)기업이 고객을 식별하고, ..

ESG 필수화에 따른 기업 경영의 변화 및 성공 사례

1. ESG의 개념과 등장 배경지속가능한 발전에서의 진화: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1987년 UN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가 발표한 '우리 공동의 미래' 보고서에서 제시된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에서 출발하였습니다.UN의 공식화: 2004년 UN 글로벌 콤팩트(UNGC)는 'Who Cares Wins' 보고서를 통해 ESG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는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지침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2. ESG 필수화의 주요 배경기후변화와 환경 이슈의 부각: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로..

스타벅스 VS 블루보틀: 커피 브랜드 포지셔닝 비교

1. 글로벌 & 국내 시장 점유율 비교글로벌 커피 시장 규모: 2024년 기준 약 4,600억 달러로 추정스타벅스: 전 세계 약 38,000개 매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1위 커피 브랜드블루보틀: 미국, 일본, 한국, 중국 등지에서 약 150개 매장을 운영하며, 프리미엄 시장을 타겟팅한국 시장:스타벅스: 국내 커피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점유율 약 50% 이상), 직영점 운영으로 브랜드 통제력 강화블루보틀: 프리미엄 커피 시장에서 소수의 점유율, 브랜드 희소성 전략으로 차별화2. 소비자 타겟 분석스타벅스:주요 고객층: MZ세대부터 직장인까지 넓은 소비층을 확보핵심 요소: 편리한 위치, 다양한 메뉴, 모바일 주문, 리워드 프로그램을 통한 고객 락인 효과블루보틀:주요 고객층: 커피 애호가 및 프리미엄 경험을 ..

2024년 국내 주요 영화관 3사 재무 분석 및 비즈니스 전략 제안

2024년 국내 주요 영화관 3사 재무 현황구분매출영업이익(손실)비고CGV1조 5,485억 원491억원 (흑자)해외 사업 덕분에 흑자 전환롯데시네마(롯데컬쳐웍스)5,621억원-84억원 (적자)국내 사업 부진메가박스3,101억원-179억원 (적자)국내 사업 부진,해외 사업 없음  다른 국내 주요 영화관 사들과 달리 왜 CGV만 흑자일까?CGV는 국내 시장 부진에도 불구하고 해외 사업의 강력한 성장 덕분에 영업이익을 달성했다.2024년 CGV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491억 원으로, 해외 사업이 실적 개선을 주도했다.  해외 시장에서의 강력한 성장베트남: CGV 최대 해외 시장로컬 영화 흥행 + 극장 수 증가 → 매출 2,072억 원, 영업이익 263억 원2024년 베트남 박스오피스 1위 극장 체인 유지인도..

스포티파이의 한국 시장 실패 원인과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경쟁 구도

스포티파이의 한국 시장 진출 전략스포티파이(Spotify)는 2021년 2월 한국 시장에 진출하며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강자로서의 입지를 확장하려 했습니다. 한국은 K-POP을 포함한 음악 시장의 핵심 지역 중 하나이며, 스포티파이 입장에서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시장이었다. 이를 위해 스포티파이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실행했습니다. (1) 프리미엄 요금제 및 무료 서비스 제공스포티파이는 글로벌 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유료 구독 모델(프리미엄)과 무료 광고 기반 모델을 제공국내 사용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을 제공하며 유입을 기대(2) 플레이리스트 큐레이션 및 개인화 알고리즘 차별화강력한 AI 기반 추천 알고리즘(Discover Weekly, Release Radar 등)을 강조..

프라이싱 전략 - 코스트 플러스 파리이싱(Cost-Plus Pricing)

코스트 플러스 프라이싱이란?코스트 플러스 프라이싱(Cost-Plus Pricing)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원가에 일정한 이윤을 더하여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전략은 가격 책정이 단순하고 안정적이어서 많은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핵심 개념생산 원가(재료비, 인건비, 운영비 등) + 일정 비율의 이윤 = 최종 가격가격 책정 방식이 명확하고 예측 가능하므로, 특히 제조업, 건설업, 정부 계약 등에서 빈번히 활용됨.경쟁 가격이나 시장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도 존재. 코스트 플러스 프라이싱의 적용 사례제조업 (Manufacturing Industry)적용 방식:제품 제조 원가에 일정한 마진(예: 20~30%)을 추가하여 가격을 결정.대량 생산 제품에서 특히 많이 사용됨.대표 사례:보잉..

2024년 소비 트렌드 분석과 2025년 트렌드 전망 및 비즈니스 성공 전략

I. 2024 소비 트렌드 개요2024년 한국 소비 시장은 저성장, 고물가, 소비자 심리 위축이라는 경제적 기조 속에서 변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4년 GDP 성장률은 2%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23년보다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완전한 회복이라 보기는 어렵다.소비자들은 외식, 문화생활 지출을 줄이고 필수재(식료품, 의료비, 공과금) 지출을 증가시키고 있다. ‘가심비’(감성+가성비) 소비 트렌드는 약화되었고, 실용성과 가격 대비 성능을 중시하는 가성비 소비 패턴이 확산되고 있다. AI, 숏폼 콘텐츠, 개인정보 보호 등 디지털 기술이 소비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리 잡음.II. 2024 소비 트렌드 5대 키워드1. 숏폼(Short-form) 콘텐츠와 디지털 소비의 부상숏폼 콘텐츠..

맥도날드는 패스트푸드 기업이 아니다? 비즈니스 모델 및 성공 전략 분석

맥도날드는 단순한 패스트푸드 체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동산 및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주요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입니다.  이번 글에서 비즈니스 모델과 성공 전략에 대해서 나눠보겠습니다. 2024년도 맥도날드 재무제표 분석 및 현재 경영 현황2024년 맥도날드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재무 성과를 보였습니다. 4분기 매출은 63.9억 달러로 예상치에 근접하였으며, 주당순이익(EPS)은 2.83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글로벌 동일매장 매출은 연간 0.1% 감소하였으나, 4분기에는 0.4% 증가하여 회복세를 보였습니다.맥도날드는 2025년에 2,200개의 신규 매장을 오픈하여 총 50,000개 매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30~32억 달러의 자본 지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및 ..

매몰비용 효과, 비즈니스에서 활용하는 방법

사람들은 이미 투자한 비용이 아까워 비효율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학에서는 이를 매몰비용 효과(Sunk Cost Fallacy)라고 하지만, 기업들은 오히려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고객을 락인(Lock-in)하고 매출을 극대화합니다.아마존 프라임, 스타벅스 리워드, 애플 생태계처럼 고객이 "이미 투자한 것이 아까워서" 계속 이용하도록 설계된 비즈니스 모델은 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매몰비용 효과를 활용한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매몰비용 효과 활용한 기업 성공 사례1.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 – 구독 모델과 락인 효과전략적 접근:아마존은 프라임 서비스를 통해 연간 또는 월간 구독료를 선결제하게 함으로써, 고객이 "이미 지불한..

위기의 컬리에서 흑자 기업으로 - 2024년 3분기 연속 EBITDA 흑자 스토리

한때 컬리는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던 기업이었습니다. 혁신적인 새벽배송 시스템과 차별화된 프리미엄 식료품 큐레이션으로 급성장하며 IPO(기업공개)까지 추진했죠. 하지만 2022년부터 경영난을 겪게 되었습니다.무려 2022년 1~3분기 동안 기록한 1,548억 원의 EBITDA 적자는 기업의 재무적 어려움을 극명하게 보여줬습니다.하지만 2년만인 2024에 3분기 연속 EBITDA 흑자라는 성과를 얻어냈습니다. 해당 성과를 얻기 위하여 컬리가 하였던 전략들을에 대해 공유해드리겠습니다. 2024년 1분기 ~ 3분기 실적 2024년 1분기:매출액: 5,381억 원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영업이익: 5억 원 (전년 동기 대비 314억 원 개선)조정 EBITDA: 71억 원 (전년 동기 대비 298억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