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4 3

국내 리츠(REITs) 시장 동향 및 전략 분석

1. 국내 리츠 시장 개요리츠(REITs)란?부동산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투자자들에게 배당을 지급하는 부동산 간접투자 회사국내에서는 2001년 리츠법(부동산투자회사법) 제정, 이후 2018년 공모 리츠 활성화 정책 도입 후 본격적인 성장2024년 기준 자산규모 100조 원 돌파  주요 특징일반 투자자가 소액으로 부동산 투자 가능임대료 수익과 자산 가치 상승에 따른 투자 수익 창출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 가능 (공모 리츠)국내 리츠 시장의 핵심 현황총 자산 규모: 2020년 61조 원 → 2024년 100조 원 (4년 만에 64% 성장)리츠 개수: 총 400개 (사모 리츠 다수, 2025년 1월말 기준 상장 리츠 24개)상장 리츠 시장 규모: 전체 리츠 시장의 약 7~8% 수준 (해외 대비 저조)주요 투자..

기업의 경쟁력은 어디에서 만들어지는가? - 가치사슬(Value Chain)의 모든 것

매출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수익성이 좋은 것은 아니다.진짜 경쟁력은 기업이 '어디에서 가치를 창출하느냐'에 달려있다. 가치 사슬(Value Chain)이란? – 배경과 정의가치 사슬 모델이 나오게 된 배경1980년대 이전에는 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는 주요 방법이 ‘산업 구조 분석’이었다.즉, 기업이 속한 산업 자체의 매력도(진입장벽, 경쟁강도 등)가 기업의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라고 보았다.하지만, 1985년 마이클 포터 교수는 기업 내부의 경쟁력 차이를 더 깊이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가치 사슬(Value Chain) 모델을 제시했다. 포터 교수의 핵심 질문:왜 같은 산업에 속한 기업이라도 이익률이 다를까?기업의 경쟁력은 어떤 내부 활동에서 만들어지는가?기업이 비용을 줄이면서 차별화된 가치를..

EBITDA vs EBIT vs 영업이익, 무엇이 더 중요한가?

EBIT, EBITDA, 영업이익의 차이EBIT = 당기 순이익 + 이자 이익 + 세금기업의 본업이 돈을 버는 구조인지 평가하는 핵심 지표금융비용, 세금의 영향을 제외하고 순수한 수익성을 보여줌활용: 기업 내 사업부별 성과 비교, 글로벌 기업 간 영업이익 비교EBITDA = 영업 이익 + 감가상각비현금 창출력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감가상각비(Depreciation)와 무형자산상각비(Amortization)를 제외해 실제 ‘현금 흐름’을 보여줌활용: M&A, 기업가치 평가, 투자 유치 시 주요 지표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관비기업의 영업활동 자체가 돈을 벌고 있는지를 평가판매비, 관리비, 연구개발비 등을 모두 포함하여 실제 영업이익을 측정활용: 경영진의 내부 성과 평가, 주주 보고 IT, 제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