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5 6

왜 쿠팡은 코스피가 아닌 나스닥에 상장했을까?

왜 쿠팡은 코스피가 아닌 나스닥에 상장했을까?2021년 3월, 쿠팡은 한국의 코스피(KOSPI)가 아닌 미국 나스닥(NASDAQ) 시장을 선택해 상장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이커머스 기업인 쿠팡이 국내 증시가 아닌 해외 증시를 택한 이유는 단순하지 않다.이는 투자 유치, 경영권 유지, 글로벌 확장 전략이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이번 글에서는 비즈니스 전략적 관점에서 쿠팡이 코스피 대신 나스닥 상장 선택을 왜 하였는지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1. 해외 투자 유치 극대화 전략1) 나스닥 vs 코스피: 투자자 성향 차이쿠팡이 나스닥을 선택한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는 투자자 성향이다. 한국 코스피 시장에서는 전통적으로 수익성을 중요하게 평가하는 반면, 나스닥은 적자 상태라도 성장성이 높은 기업..

이마트는 왜 이커머스 기업들에게 밀렸을까?

이마트의 전략과 한계1) 이커머스 시장 성장과 초기 대응 부족이커머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했지만, 이마트는 오프라인 중심의 전략을 고수하면서 변화를 늦게 감지했다. 쿠팡, 네이버쇼핑, 마켓컬리 등은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펼쳤지만, 이마트는 대형마트 모델을 유지하며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2010년대 초반부터 이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마트는 물류 인프라 및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음오프라인 매장 확장에 집중하면서 온라인 전환 전략이 늦어짐 2) 이마트 앱과 온라인 전략의 한계이마트는 이커머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자체 앱을 운영했지만, 이마트 앱은 온라인 쇼핑몰이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을 보완하는 O2O(Online to Offline) 앱에 가까웠다. 이는 이커머스 ..

성공하는 브랜드의 비밀: 강력한 CI·BI 전략 분석

CI(기업 정체성)와 BI(브랜드 정체성)의 개념기업 정체성(Corporate Identity, CI)는 기업의 본질을 정의하는 요소로, 미션, 비전, 핵심 가치, 경영 철학, 로고, 컬러, 슬로건 등이 포함된다. 기업이 어떤 존재이며, 사회에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나타낸다.브랜드 정체성(Brand Identity, BI)는 특정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일관된 이미지와 가치를 의미한다. 브랜드의 로고, 컬러, 디자인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메시지, 톤 앤 매너, 고객 경험까지 포함된다. CI와 BI의 차이점CI는 기업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이며, 그룹 전체의 방향성을 나타낸다. 예) 삼성 그룹의 CIBI는 특정 브랜드의 정체성을 의미하며,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를 형성한다. 예) 삼성전자의..

스파크플러스 VS 패스트파이브, 국내 공유 오피스 시장 누가 승자가 될 것인가

다들 공유 오피스를 많이 이용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파이브스팟을 자주 이용하는 고객입니다.최근 국내 공유 오피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패스트파이브와 스파크플러스가 있습니다.두 기업은 어떤 전략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어떻게 경쟁하고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두 기업의 시장 점유율비즈니스 모델 및 입지 전략 분석서비스 차별화 요소리스크 요인 및 시장 진입 장벽장기적 경쟁 우위 확보 가능성 분석(마지막에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감)이 5가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1. 시장 점유율 및 성장 현황패스트파이브2015년 설립, 국내 최대 규모 공유 오피스 브랜드 중 하나현재 51개 이상의 지점 운영, 누적 이용 기업 26,300+, 입주 멤버 수 33,440명 이상연..

공유 오피스는 돈을 어떻게 벌까?

공유 오피스란 무엇인가?공유 오피스는 개인 또는 기업이 기존의 고정된 사무실을 임대하는 대신, 유연한 계약 조건으로 공동 업무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비즈니스 모델입니다.스타트업, 프리랜서, 원격 근무자, 소규모 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의 위성 오피스로도 활용되며, 단순한 공간 임대가 아니라 커뮤니티와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위워크 기주누고)입니다.최근 공유 오피스 산업은 원격 근무와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 확산으로 인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기존 오피스 시장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유 오피스 비즈니스 모델 분석공유 오피스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명확한 수익 모델과 비용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다음은 공유 오피스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핵심 ..

카카오는 왜 티스토리가 있음에도 브런치를 따로 만들었을까?

카카오가 다음을 인수하면서 티스토리가 카카오 것이 된 배경2014년, 카카오와 다음(Daum)의 합병이 발표되면서 한국 IT 업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이 합병을 통해 카카오는 단순한 모바일 메신저 기업을 넘어, 포털, 검색, 콘텐츠, 광고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확보할 수 있었다.이때 카카오가 자동으로 운영하게 된 서비스 중 하나가 바로 ‘티스토리’였다.티스토리는 원래 2006년, '태터툴즈'라는 블로그 솔루션을 기반으로 다음과 태터네트워크가 공동 개발한 블로그 서비스다.이후 2007년, 다음이 티스토리를 단독 운영하게 되었고, 다음 블로그보다도 더 개방적인 블로그 플랫폼으로 성장했다.이후 2022년 9월 30일에는 다음 블로그와 티스토리 통합하여 티스토리로 운영중합병 후 티스토리는 자연스럽게 카카오의..